추천 가젯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 — 오늘 바로 쓰는 Q&A 템플릿
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 Q&A. 시급 10,320원·월 209시간 기준. 월급÷209≥10,320 역산, 알바 주휴(주15h+개근), 수습 90% 3요건, 산입/제외 표로 한 번에 점검.
첫 문장에 핵심을 모아 둡니다. 2026년 시급은 10,320원, 풀타임의 월 기준은 209시간입니다. 이 두 숫자를 정확히 걸어두면 급여표는 흔들리지 않습니다. 아래 Q&A는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을 그대로 옮긴 실무용 안내입니다. 계산은 짧게, 근거는 분명하게, 실행은 즉시.
Q1. 왜 ‘209시간’인가요?
A. 주 40시간에 유급 주휴 1일(평균 1일 근로시간)을 더해 주 단위 총시간을 만들고, 이를 월 평균 4.345주로 곱합니다. 그래서 2026년 표준 월 기준은 209시간이 됩니다. 이 값이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의 첫 줄입니다.
용어 풀이
• 주휴수당: 한 주 소정근로일을 빠짐없이 일했을 때 주어지는 ‘쉬어도 임금이 지급되는’ 하루.
• 월환산: 주 단위 시간을 **월 평균 주수(4.345)**로 바꾸는 과정.
• 산입/제외: 최저임금 비교에 포함되는 돈과 빠지는 돈을 구분하는 기준.
Q2. 월급제로 계약했을 때, 한 줄로 점검하는 법은?
A. 가장 빠른 방법은 월급 ÷ 209 ≥ 10,320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. 이 식이 성립하면 2026년 기준을 충족합니다. 이 한 줄 검산을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의 두 번째 줄로 붙여 두세요.
Q3. 알바의 주휴는 어떤 조건에서 붙나요?
A. 반드시 두 가지가 동시에 필요합니다.
-
주 15시간 이상 일할 것, 2) 그 주에 결근이 없을 것(개근).
조건이 충족되면 평균 1일 근로시간만큼의 유급 주휴가 더해져 해당 주의 총 유급시간이 늘어납니다. 이 규칙이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의 세 번째 줄입니다.
Q4. 실무에서 바로 쓰는 계산 공식은 무엇인가요?
A.
-
주휴 발생 주: 월 하한 = 시급 × {(주 소정근로시간 + 주휴시간) × 4.345}
-
주휴가 없는 주(주 15시간 미만 혹은 결근): 월 하한 = 시급 × (주 소정근로시간 × 4.345)
-
주휴시간 = 주 소정근로시간 ÷ 소정근로일수(=평균 1일 근로시간)
Q5. 실제 숫자로 보면 어느 정도가 최소선인가요?
A. 세 가지 예시만 알아도 현장 계산의 90%를 커버합니다.
-
주 20시간(4h×5일): 주휴 4h 발생 → 주 24h → 월 시간 104.28h → 월 최소선 ≈ 1,076,170원
-
주 16시간(4h×4일): 주휴 4h 발생 → 주 20h → 월 시간 86.90h → 월 최소선 ≈ 896,808원
-
주 12시간(4h×3일): 주휴 없음 → 월 시간 52.14h → 월 최소선 ≈ 538,085원
Q6. 최저임금 비교에서 ‘산입/제외’는 무엇이 다른가요?
A. 이름이 아니라 지급 방식으로 판단합니다.
-
포함: 기본급, 직무·직책 등 정기·일정액 수당
-
조건부 포함: 정기상여·현금성 복리후생(지급 주기·조건이 일정하면 산입)
-
제외: 연장·야간·휴일 가산임금, 실비변상(실비 교통비 등)
이 구분을 틀리면 합격·불합격이 엇갈립니다. 그래서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에는 반드시 “산입/제외 확인” 박스를 따로 둡니다.
Q7. 수습은 언제 90%가 가능한가요?
A. 동시에 3요건이 맞아야만 허용됩니다.
① 근로계약 기간 1년 이상, ② 수습 시작 후 3개월 이내, ③ 직무가 단순노무가 아닐 것.
하나라도 빠지면 수습도 100% 지급이 기준입니다. 이 항목은 소송·소급으로 가장 자주 이어지는 영역입니다.
Q8. 실제 사례 1 — 매장 관리자(월급제)의 10분 점검
월 210만 원을 유지하던 매장. 역산을 해 보니 210만 ÷ 209 = 시급 10,047원으로 기준 미달. 다음 달부터 2,156,880원 이상으로 조정하고, 부족분을 소급 지급했습니다. 이후 월마다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을 통한 역산 캡처를 급여 파일과 함께 보관했습니다.
Q9. 실제 사례 2 — 대학생 알바의 주휴 누락 복구
주 20시간 스케줄(4h×5일)을 유지했지만 주휴가 빠져 네 달치가 쌓였습니다. 스케줄표에 주간합계·개근 체크 칸을 추가해 주휴 발생을 명확히 기록했고, 미지급분을 정산받았습니다. 이 경험 이후 본인만의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을 프린트해 지갑에 넣고 다녔습니다.
Q10. 2025→2026 숫자 변화, 한 장으로 끝
업무 시작 전에 먼저 바꾸어야 할 표입니다.
표 1 | 연도별 기준 비교
항목 | 2025 | 2026 |
---|---|---|
시급 | 10,030원 | 10,320원 |
월 환산(209h) | 2,096,270원 | 2,156,880원 |
적용기간 | 2025.01.01~12.31 | 2026.01.01~12.31 |
표 2 | 알바 시간대별 월 하한(시급 10,320원, 반올림)
주 스케줄 | 주휴 | 월 환산 시간 | 월 하한 |
---|---|---|---|
20h (4h×5일) | O(4h) → 24h | 104.28h | ≈ 1,076,170원 |
16h (4h×4일) | O(4h) → 20h | 86.90h | ≈ 896,808원 |
12h (4h×3일) | X | 52.14h | ≈ 538,085원 |
표 3 | 산입/제외 빠른 구분
항목 | 최저임금 비교 | 근거 포인트 |
---|---|---|
기본급·정기수당 | 포함 | 매월 정기·일정액 |
정기상여·현금성 복리후생 | 조건부 포함 | 주기·조건 일정하면 산입 |
연장·야간·휴일 가산 | 제외 | 가산임금은 비교에서 제외 |
실비변상(실비 교통비 등) | 제외 | 근로대가 아님 |
Q11. 체크리스트 서식 — 이 박스만 복사해 쓰세요
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 (사장·알바 공용 미니)
-
월급 ÷ 209 ≥ 10,320 확인(월급제)
-
주 15시간 이상 근무 기록
-
개근 여부 체크(주휴 발생 조건)
-
산입/제외 항목 구분 완료
-
급여명세서·스케줄·주휴 판단 근거 파일 보관
Q12. 미달을 발견했다면 무엇부터 할까요?
A. 차액을 즉시 계산해 다음 급여에 보전하고, 산정 근거(엑셀/시스템 로그·명세서·스케줄)를 함께 보관하세요. 최저임금 미달은 차액 소급이 기본이며, 위반이 누적되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늦출수록 금액은 커집니다. 오늘 처리하는 것이 가장 저렴합니다.
내부링크(동일 블로그 내 참고 글)
외부링크(공식·확실한 주소)
-
고용노동부(MOEL) 최저임금 안내: https://www.moel.go.kr
-
최저임금위원회: https://www.minimumwage.go.kr
-
국가법령정보센터(최저임금법·벌칙): https://www.law.go.kr
실무자가 바로 복사해 쓰는 최저임금 체크리스트 2026 포맷을 제공합니다. 본 글은 안내 요약이며 법률 자문이 아닙니다. 수치·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값이므로, 사업장 상황에 맞춰 반드시 원문을 함께 확인하세요.
댓글
댓글 쓰기